Dataset Viewer
Auto-converted to Parquet
output
stringlengths
1
1.26k
rno
int64
1
25.4k
idx
stringclasses
1 value
doc
stringclasses
1 value
input
stringclasses
779 values
instruction
stringlengths
11
125
01. 과업범위의 변경이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추 적 가능한가? - 사용자 요구사항의 변경절차 준수여부 - 변경에 대한 추적 가능 여부 02. 사업의 일정 등 진척사항이 관리 및 통제되고 있는가? - 정기적인 진척관리 - 관리 도구의 사용 03. 사업 추진을 위한 투입인력이 계획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가? - 월별 투입인력 계획 및 실적 - 인력 변경의 적정성(기술력, 경험 등) - 교육계획에 따른 참여인력 교육 실시 04. 의사소통관리 체계에 따라 사업의 진행 상황이 주관기관과 사업 자 간에 원활하게 공유되고 있는가? - 보고 방법 및 주기 - 보고 결과에 대한 피드백 05. 위험관리가 계획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있는가? - 식별된 위험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 - 쟁점 및 위험에 대한 추가식별 및 해결에 따른 관리 - 개별 위험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 06. 품질보증계획에 따른 품질보증활동이 수행되고 있는가? - 계획 대비 활동 실적
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검토항목은 무엇인가?
01. 변경관리 대장 02. 진척보고서 03. 투입인력 교육 등 관리 문서 04. 주/월간 보고자료 05. 위험/쟁점 관리대장 06. 품질보증활동 결과서
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주요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사용자 요구사항의 변경절차 준수여부 변경에 대한 추적 가능 여부
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범위의 변경이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추적가능한지 확인할때 검토내용은 무엇인가?
사업의 과업범위 변경이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변경 결과가 추적이 가능한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범위의 변경이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추적가능한지 확인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과업범위의 변경이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를 준수하여 수행되어 추적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계획된 과업범위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으며 비공식적인 추가 요구사항의 발생과 이에 따른 일정 지연이 발생하거나 인수인계 기준이 모호해질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과업의 범위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를 통하여 변경관리하고 추적이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범위의 변경이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추적가능한지 확인하는 필요성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일관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범위의 변경이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추적가능한지 확인할때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사용자 요구사항의 변경이 변경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02. 모든 변경사항이 관련문서에 공식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03. 추적 가능한 변경관리를 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범위의 변경이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추적가능한지 확인할때 세부검토항목은 무엇인가?
사용자의 기능적, 비기능적 요구사항이 모두 도출되어 사용자 요구사항정의서가 작성되어 있고, 주관기관의 검토와 승인과정이 있은 후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변경관리 절차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점검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용자 요구사항의 변경이 변경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형상관리계획서 03. 변경관리계획서 04. 변경관리대장 05. 회의록 06. 요구사항정의서 07. 요구사항추적표 08. 단계별 산출물
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용자 요구사항의 변경이 변경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준거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1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용자 요구사항의 변경이 변경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사용자 요구사항정의서가 작성되어 있으며 주관기관의 검토 및 승인과정이 있었는지 확인한다. - 사용자의 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이 구분되어 요구사항정의서가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기능적 요구사항은 비교적 철저하게 분석이 되나, 비기능적 요구사항은 소홀히 다루게 되므로 요구사항 정의서에 비기능적 요구사항이 도출되었는지 확인한다. - 사업초기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과 불확실성이 있으므로 인터뷰, 자료검토, 요구사항 질의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요구사항을 찾고 계속 정제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 작성된 요구사항정의서는 중요한 형상항목이며 개발의 기저로 활용되므로 주관기관과의 검토과정과 주관기관의 승인이 있었는지를 확인한다. 02. 주관기관의 요구사항이 각 단계별 산출물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추적이 가능토록 요구사항 추적표가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도출된 요구사항의 각 항목의 상세화 수준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확인한다. - 요구사항정의서에 작성된 사용자 요구사항 항목이 단계별 산출물과 상호추적이 가능토록 요구사항 추적표가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인수시험의 시험항목으로 도출되도록 계획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03. 요구사항에 대한 변경발생시 변경관리계획에 따라 변경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 사용자 요구사항정의서는 중요한 형상항목이므로 기준선이 설정되고 버전이 부여되었는지 확인한다. - 사용자 요구사항은 정기적인 또는 비정기적인 회의, 산출물 및 보고서 검토, 워크스루 등의 활동을 통하여 새롭게 도출되거나 변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경요구에 대하여 변경관리 계획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이 시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1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용자 요구사항의 변경이 변경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형상항목에 대하여 기준선이 설정되고 버전관리체계에 따라 각종 중간 산출물에 버전이 체계적으로 부여되어야 한다. 또한 변경발생시 변경관리절차에 따라 변경관리대장에 변경내용이 기록되고, 체계적인 검토를 통하여 변경내용이 관련 담당자 및 조직에게 빠짐없이 변경내용이 전파되고 관련문서에 공식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변경사항이 관련문서에 공식적으로 반영이 되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모든 변경사항이 관련 문서에 공식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형상관리계획서 03. 변경관리계획서 04. 변경관리대장 05. 회의록 06. 단계별 산출물
1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모든 변경사항이 관련 문서에 공식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준거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1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모든 변경사항이 관련 문서에 공식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변경관리 이력이 관련 문서에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변경관리의 최종 의결 조직인 변경관리위원회에서 수행된 변경 검토 내용은 회의록 또는 별도의 관리 문서로써 기록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형상항목에 대한 변경 시 영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변경내용에 대한 전파가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각 산출물의 첫 장에 개정 이력이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02. 버전관리체계에 따라 형상항목에 버전이 부여되었으며 변경 발생 시 버전 변경이 누락 없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한다. - 각 형상항목에 버전이 체계적으로 부여되어 있는지 산출물을 확인한다. - 주버전(Major number)과 부버전(Minor number)의 변경이 버전관리 기준에 맞게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1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모든 변경사항이 관련 문서에 공식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변경된 내용에 대하여 추적이 가능하도록 변경관리대장에 변경내용이 체계적으로 기록 관리되고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변경관리를 위하여 형상관리도구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추적 가능한 변경관리를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형상관리계획서 03. 변경관리계획서 04. 변경관리대장 05. 회의록 06. 단계별 산출물
1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추적 가능한 변경관리를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준거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1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추적 가능한 변경관리를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변경발생시 변경내용을 변경관리대장에서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변경관리대장은 모든 형상항목에 대한 변경내용을 총괄 기록 관리하는 문서로써 변경요청번호, 변경요청내용, 변경요청자, 변경요청일자, 변경완료일자 등이 기록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02. 형상관리도구를 적용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형상관리도구를 원활한 활용을 위하여 교육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시행되었는지 확인한다. - 산출물이 형상관리도구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1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추적 가능한 변경관리를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정기적인 진척관리 관리 도구의 사용
2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의 일정 등 진척사항이 관리 및 통제되고 있는가의 검토내용은 무엇인가?
당초 계획되었던 일정에 따라 사업이 진척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완료하고자 한 기한내에 사업이 완료될 수 있는가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2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의 일정 등 진척사항이 관리 및 통제되고 있는가의 검토내용은 무엇인가?
사업이 기한 내에 완료되는 것은 사업의 성공적인 완료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사업이 기한 내에 완료되지 않을 경우, 지체상금 문제, 시스템 개통일의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관기관과 개발업체에 모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각 사업의 진행이 계획된 일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최초 목표했던 사업 기간 내에 사업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의 일정 등 진척사항이 관리 및 통제되고 있는가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2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의 일정 등 진척사항이 관리 및 통제되고 있는가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일정계획 대비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02. 과업내용 조정이나 일정지연에 따라 일정계획을 변경하여 진척관리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2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의 일정 등 진척사항이 관리 및 통제되고 있는가의 세부검토항목은 무엇인가?
목표일정을 달성하기 위해 일정계획표에 제시된 단계별 목표일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일정계획에 대한 실적을 관리하여 세부활동별 완료기준에 따라 공정진척율을 산정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보통은 형식적으로 일정계획대비 실적을 관리하지만, 이 경우 단순히 사업기간 경과 비율에 따라 공정진척율을 산정하면 실제 작업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실제 지연 일정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핵심공정의 지연이 노출되지 않으면 결국 최종 사업완료 목표일을 준수하지 못하여 사업 자체의 지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일정계획 대비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일정계획표 02. 주/월간보고서
2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일정계획 대비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2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일정계획 대비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검토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주기적으로 공정진척사항을 파악하고 작업 완료기준에 따른 실적을 관리하는지 점검합니다. - 주/월간 보고자료를 검토하여 일정계획 대비 공정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공정진척율 산정의 근거가 되는 세부 작업공정별 실적이 제출되고 작업완료기준에 따라 산출되었는지 점검합니다. - 기 착수된 활동의 완료여부, 수행 중인 활동의 완료까지의 잔여기간을 검토하는 진척도 점검회의가 수행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완료된 활동의 계획기간과 실제기간의 차이를 검토하고 차이가 클 경우 원인이 파악되어야 합니다. - 이정표에 따른 목표 일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미완료시의 원인에 대하여 파악합니다. 02. 작업 공정별 계획 대비 실적을 비교하여 지연공정을 파악하고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전체 공정진척율과 함께 개별 작업공정별로 계획 대비 실적 차이를 비교하여 지연이 발생하는 공정을 파악합니다. - 지연공정으로 인하여 이정표나 전체 목표일정에의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고 대비책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지연공정이 핵심경로에 해당하는 공정일 경우에는 타 공정의 일정조정이나 지연공정의 일정단축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2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일정계획 대비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검토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사업 추진과정에서 외부 여건변화, 요구사항 추가/변경 등으로 인한 과업내용 조정이 발생하면 이를 반영한 작업분할구조(WBS)의 변경이 수반되고 일정계획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에 따라 변경된 일정계획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업내용의 조정에 따라 일정계획을 변경관리하지 않으면 실제 공정진척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또한, 주관기관의 공식적인 변경통제를 받지 않고 사업자의 사업팀 내부적으로만 관리하고 있으면 해당 사업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동일한 일정계획에 따라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변경된 과업내용에 대한 일정계획의 체계적인 관리는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2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내용 조정이나 일정지연에 따라 일정계획을 변경하여 진척관리하고 있는지 검토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일정계획표 02. 주/월간보고서 03. 변경요청서/변경승인서 04. 작업분할구조(WBS)
3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내용 조정이나 일정지연에 따라 일정계획을 변경하여 진척관리하고 있는지 검토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3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내용 조정이나 일정지연에 따라 일정계획을 변경하여 진척관리하고 있는지 검토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과업내용의 조정에 따라 WBS와 일정계획을 변경하여 관리하는지 점검합니다. - 작업공정 및 WBS의 구성에 변경을 수반하는 공식적인 과업내용의 추가나 변경, 요구사항의 추가나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합니다. - 과업변경에 따라 작업공정의 추가나 변경 내역을 파악하고 WBS 및 일정계획에 반영되었는지 점검합니다. - WBS의 편성 및 일정계획 조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항목 4일정계획수립 ([PM01-1-C1])시의 검토방법을 적용하여 점검합니다. 02. 변경된 일정계획에 대하여 영향도를 파악하고 공식적으로 주관기관의 승인을 받아 이력 관리하는지 점검합니다. - 과업내용 조정이나 지연일정에 따른 일정 변경 요청에 대하여 분석하였는지 확인합니다. . 변경요청의 원인과 배경을 조사합니다. . 일정변경이 기 전제된 가정이나 활동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합니다. . 일정변경이 범위, 비용, 품질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계획의 항목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하고 변경과 관련된 위험을 평가합니다. . 발주기관 및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파악합니다. . 발주기관 사업관리 책임자 및 주요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와 변경의 합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는지 확인합니다. - 일정변경이 변경통제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일정변경에 대한 요청과 승인 활동이 수행되었는지 점검합니다. . 일정의 변경에 대하여 문서화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는지 검토합니다. . 갱신된 일정계획을 발주기관, 프로젝트팀 내부 및 이해관계자에게 배포하여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변경된 일정계획에 따라 진척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점검합니다. 03. WBS에 명시된 계획과 달리, 미도래된 세부활동 수행 등의 수행 결과를 진척율에 적용했는지 확인합니다. - 세부활동간의 선후관계가 없더라도, 특정시점 기준으로 계획된 세부활동을 미수행한 상태에서, WBS 변경 없이 미도래된 시점의 세부활동을 앞당겨 수행하고, 이를 진척율에 반영했는지 여부를 점검하여, 진척율이 정확하게 산정, 보고되었는지 확인합니다.
3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과업내용 조정이나 일정지연에 따라 일정계획을 변경하여 진척관리하고 있는지 검토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월별 투입인력 계획 및 실적 인력 변경의 적정성(기술력, 경험 등) 교육계획에 따른 참여인력 교육 실시 인력 절감 을 위한 도구나 경영기법의 적용
3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을 위한 투입인력이 계획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검토절차는 무엇인가?
사업 추진을 위하여 초기에 계획된 투입인력이 적정하게 투입되고,계획에 따라 교육/훈련되고 있으며 변경된 인력이 절차에 따라 적정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3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을 위한 투입인력이 계획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목적은 무엇인가?
투입인력 변경이 절차에 따라 적정하게 수행되지 않거나 계획된 인력의 미투입 또는 투입인력의 업무/기술에 대한 교육/훈련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사업 추진의 일정지연과 품질의 하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력 투입 및 변경관리 계획에 따라 적정하게 인력을 관리하고 계획된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을 위한 투입인력이 계획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효율성입니다.
3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을 위한 투입인력이 계획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사업 추진에 따른 월별 투입 인력을 계획 대비 실적으로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02. 투입 인력 변경 시 변경 인력의 보유기술, 유사 사업 참여 경험 등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는지 확인합니다. 03. 투입 인력에 대해 교육계획에 따라 교육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04. 인력 절감을 위한 도구나 경영기법을 적용하였는지 확인합니다.
3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을 위한 투입인력이 계획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검토절차의 세부검토항목은 무엇인가?
초기에 계획된 투입 인력이 적정하게 투입되지 않을 경우 사업수행 일정 및 품질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업 수행에 필요한 기술력과 경험 등을 보유하고 있는 적정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성공적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업 추진에 따른 계획된 월별 투입 인력이 적정하게 투입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3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에 따른 월별 투입 인력을 계획 대비 실적으로 관리하고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제안서 02. 사업수행계획서 03. 과업내용서 04. 월별투입 인력계획서 및 실적자료
3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에 따른 월별 투입 인력을 계획 대비 실적으로 관리하고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효율성입니다.
4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에 따른 월별 투입 인력을 계획 대비 실적으로 관리하고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월별 투입 인력에 대한 계획 대비 실적이 월별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사업 추진 일정에 따라 월별 투입 인력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사업 추진을 위하여 월별 투입 인력 계획이 관리되고 있는지 인력계획/실적표 등을 통하여 계획 대비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02. 월별 투입 인력에 대한 계획 대비 실적 관리의 적정성을 검토합니다. 인력계획/실적표 등을 통한 월별 투입 인력 관리를 계획합니다.
4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사업 추진에 따른 월별 투입 인력을 계획 대비 실적으로 관리하고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사업수행에 따른 계획된 투입 인력에 대해 변경이 불가피할 경우 변경 절차에 따라 적정하게 변경되었는지, 변경 인력 대비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기술력 및 경험 등의 보유자로 대체되었는지, 인력변경에 관련된 보고자료 및 근거 산출물 등을 검토하여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4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투입 인력 변경 시 변경 인력의 보유기술, 유사 사업 참여 경험 등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월별투입인력 계획서 및 실적자료 02. 인력변경 계획서 03. 인력변경 보고서
4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투입 인력 변경 시 변경 인력의 보유기술, 유사 사업 참여 경험 등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효율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4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투입 인력 변경 시 변경 인력의 보유기술, 유사 사업 참여 경험 등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투입 인력 변경 시 변경 절차에 따라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 계획된 투입 인력 변경 시 변경 절차에 따라 투입되었는지 인력 변경에 관련된 보고자료 및 근거 산출물 등을 통하여 확인한다. - 변경 절차에 따라 변경 투입된 인력에 대하여 해당사업과 관련된 보유기술, 유사 사업 참여 경험 등을 확인한다. - 투입 인력 변경 시 발주자 측과 공식적인 합의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02. 투입 인력 변경 시 대체 인력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검토한다. - 투입 인력 변경 시 변경 인력 대비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기술력 및 경험 보유자로 대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4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투입 인력 변경 시 변경 인력의 보유기술, 유사 사업 참여 경험 등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교육계획에 따른 교육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 사업의 일정 지연, 품질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참여 인력에 대한 기술교육, 표준, 방법론 교육 등의 교육/훈련 계획에 따라 교육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또한 변경 투입된 인력과 교육 미실시 인력을 파악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4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투입 인력에 대해 교육계획에 따라 교육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제안서 02. 사업수행계획서 03. 과업내용서 04. 교육/훈련 계획서 05. 교육/훈련 결과보고서 06. 월별투입인력 계획서 및 실적자료 07. 인력변경 보고서
4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투입 인력에 대해 교육계획에 따라 교육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효율성입니다.
4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투입 인력에 대해 교육계획에 따라 교육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투입 인력에 대해 교육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한다. - 교육 계획에 따라 투입 인력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었는지를 교육 결과 보고서 등을 통해 확인한다. - 사업 추진의 일정 지연과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협력 업체에 대해 투입 인력의 교육/훈련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한다. 02. 교육 효과 및 만족도를 차기 교육에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교육 실시에 따른 교육 효과 및 만족도 등을 평가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교육 실시 후 평가를 통해 차기 교육에 반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4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투입 인력에 대해 교육계획에 따라 교육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인력의 효율성을 높이거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개발, 시험, 운영 도구나 경영 기법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고 인력의 절감에도 진도관리나 일정관리 계획에 치질이 없는 지를 확인하여 개발 업체의 생산성 향상 노력을 인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5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인력 절감 을 위한 도구나 경영기법을 적용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제안서 02. 사업수행계획서 03. 과업내용서 04 월별투입인력 계획서 및 실적 05. 인력변경 보고서 06. 적용도구와 효과 입증 자료 07 적용 경영기법과 효과 입증 자료
5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인력 절감 을 위한 도구나 경영기법을 적용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효율성과 사업성과의 실현성입니다.
5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인력 절감 을 위한 도구나 경영기법을 적용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적용도구의 적용방법에 대해서 확인한다. - 도구의 적용 시기와 적용 방법, 적용의 적정성에 대해서 확인한다. - 도구에 대한 인력 절감 증빙 자료와 인력 절감 효과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 도구 사용을 통한 인력 절감 결과를 확인하고 적정 여부를 판단한다. 02. 적용 경영기법의 적용방법에 대해서 확인한다. - 경영기법의 적용 시기와 적용 방법, 적용의 적정성에 대해서 확인한다. - 경영기법에 대한 인력 절감 증빙 자료와 인력 절감 효과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 경영기법 사용을 통한 인력 절감 결과를 확인하고 적정 여부를 판단한다.
5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인력 절감 을 위한 도구나 경영기법을 적용하였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항목은 무엇인가?
보고 방법 및 주기 보고 결과에 대한 피드백
5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의사소통관리 체계에 따라 사업의 진행 상황이 주관기관과 사업자간에 원활하게 공유되고 있는가를 통해 확인하는 검토내용은 무엇인가?
사업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이 계획된 주기, 방법 등 의사소통 체계에 따라 원활하게 공유되고 있는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5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의사소통관리 체계에 따라 사업의 진행 상황이 주관기관과 사업자간에 원활하게 공유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사업의 진행 상황이 주간회의, 월간회의, 이슈회의 등 계획된 주기, 방법, 절차에 따라 주관기관과 사업자 간에 공유되지 않은 경우, 사업의 위험요인 등을 상호간에 공유하기 어려우며, 일정, 범위 등의 변경을 위한 계획 수립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계획된 공식적인 의사소통관리 체계에 따라 주관기관과 사업자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5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의사소통관리 체계에 따라 사업의 진행 상황이 주관기관과 사업자간에 원활하게 공유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필요성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사업성과의 실현성입니다.
5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의사소통관리 체계에 따라 사업의 진행 상황이 주관기관과 사업자간에 원활하게 공유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정기적, 비정기적인 보고가 계획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02. 보고 결과에 따른 후속적인 피드백 내용 및 쟁점사항이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5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의사소통관리 체계에 따라 사업의 진행 상황이 주관기관과 사업자간에 원활하게 공유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세부항목은 무엇인가?
사업수행 과정에서 보고 및 의사소통계획에 따라 주/월간 보고 및 비정기 회의를 실시하고 관련 회의록을 기록하여 수발주기관 및 이해관계자가 사업 진행현황 및 쟁점에 대하여 공유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월간 보고가 형식적으로 실무자 수준에만 이루어지면 중요 사업 현안이 발견되지 않거나 의사결정이 늦어질 수 있으며 회의결과가 기록되고 확인되지 않으면 수발주기관간에 상호 이해가 부족하게 된다. 결국, 비공식적인 문서나 회의 참석 담당자의 기억에 의존하게 되어 정보공유 부족으로 사업목표 달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5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정기적, 비정기적인 보고가 계획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보고/의사소통계획 02. 주/월간보고 03. 회의록
6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정기적, 비정기적인 보고가 계획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사업성과의 실현성입니다.
6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정기적, 비정기적인 보고가 계획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의사소통계획에 의거 주기적인 보고활동이 수행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 사업의 진척현황에 대하여 주간, 월간 보고를 수행하며 상태보고, 진척보고, 예측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지 확인한다. - 상태보고: 사업일정과 투입공수 등을 포함한 사업 현황 - 진척보고: 프로젝트팀의 작업진척도 현황 - 예측: 향후 사업의 진척도를 예상 - 주간, 월간보고서에서는 일정 계획 대비 실적, 작업 진척현황, 주요 쟁점 및 미결사항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 보고 내용 및 회의 결과에 대하여 회의록으로 정리하고 참석자의 확인이 있었는지 점검한다. 02. 사업진행과정에서의 협의결과나 진행상황에 대하여 수시 보고가 수행되고 관련 기록이 관리되는지 검토한다. - 수시로 사업 진척현황 보고나 주요 쟁점에 따른 협의가 수행되어 관련 기록이 회의록으로 정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회의록에 첨부되는 보고 자료나 검토보고서 등의 비공식 문서가 누락 없이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전체 사업의 회의록이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 하위팀별로 회의록 사본을 관리하여 회의결과를 팀원도 공유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 유관기관과의 공식적인 협의체의 운영방안에 따라 정보교환, 의사결정 방안이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사업기간중의 협의회 개최 방안에 따라 개최 시기, 횟수가 준수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 협의회 운영결과에서 결정된 실행항목이나 미결사항에 대하여도 쟁점관리절차를 준용하여 추적 관리하는지 확인한다. - 사업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경우 개발팀 내부적인 공지사항과 입수자료, 지침, 주요 성과물 등을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하며 최신 상태로 유지 관리되는지 점검한다. - 비공식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이메일이나 메신저를 사용하기도 하나, 의사결정이나 보고수단으로서 사전에 협의되지 않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회의록이나 업무연락을 작성하였는지 확인한다.
6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정기적, 비정기적인 보고가 계획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정기/비정기적인 보고와 회의를 통하여 협의되거나 결정된 사항에 대하여 회의록으로 정리하고 쟁점에 대하여 추적함으로서 참석자 및 이해관계자가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고나 회의를 통하여 논의된 결과가 회의록으로 정확히 기록되고 참석자가 확인하지 않으면 회의결과에 대한 이견이 발생하거나 무시될 수 있으며 차후 수행해야 할 의사결정사항과 쟁점관리로 연계되지 못하게 된다.
6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보고 결과에 따른 후속적인 피드백 내용 및 쟁점사항이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주/월간보고서 02. 회의록 03. 수발신 공문철 04. 쟁점관리대장
6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보고 결과에 따른 후속적인 피드백 내용 및 쟁점사항이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일관성입니다.
6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보고 결과에 따른 후속적인 피드백 내용 및 쟁점사항이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정기/비정기 보고를 통하여 협의된 결과에 대하여 참석자가 내용을 확인하였는지 검토한다. - 보고 결과에 따른 지시사항, 추가 요청사항, 결정사항 등의 회의결과에 대하여 회의록으로 정리되고 참석자가 사실을 확인하고 사인하였는지 확인한다. - 회의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추적하여 검토한다. - 발주기관과 용역업체간에 사업관리 측면에서 공식적인 절차를 적용해야 하는 업무(변경관리)에 대해서는 공문에 의하여 처리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승인을 필요로 하는 요청 공문에 대하여 승인공문까지의 처리 기간을 산정하여 처리시한의 준수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02. 보고 및 비정기적 회의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쟁점 및 미결사항에 대하여 쟁점관리로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 보고 및 비정기 회의에 따라 발생한 쟁점 및 미결사항에 대하여 쟁점으로 등록하여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 보고 및 회의 결과에서 쟁점에 대한 결정사항이 기록된 경우 해당 쟁점관리 대장 및 쟁점내역에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동일 쟁점에 대하여 다수의 회의나 보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건별로 추적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6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보고 결과에 따른 후속적인 피드백 내용 및 쟁점사항이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식별된 위험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 쟁점 및 위험에 대한 추가식별 및 해결에 따른 관리 개별 위험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
6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관리가 계획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검토내용은 무엇인가?
쟁점/위험관리 절차에 따라 사업추진 상에 발생 가능한 기술적, 업무적, 법제도적 쟁점, 위험에 대하여 충분히 식별되고, 대응방안이 마련되었는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6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관리가 계획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검토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업 추진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업무적, 법제도적 쟁점사항 및 위험에 대하여 계획된 절차에 따라 관리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위험이 식별되지 않거나 적정한 대응방안 마련이 되지 않아 예상치 못한 위험으로 사업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쟁점, 위험관리 절차에 따라 쟁점 및 위험이 식별되고 대응방안이 마련되어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6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관리가 계획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검토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7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관리가 계획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검토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위험 식별이 위험 관리절차에 따라 식별되고 평가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02. 식별된 위험에 대하여 발생 위험에 대한 대처가 유효한가를 평가한다. 03. 쟁점의 해결과정과 위험으로의 전환이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다.
7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관리가 계획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검토의 세부검토항목은 무엇인가?
위험은 사업초기에 경험적 지식으로 식별하고 평가가 이루어지지만 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지속적인 식별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식별된 위험과 대응방안은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위험의 정량적, 정성적인 평가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변경관리 및 위험관리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위험관리절차에 따라 위험이 식별되고 평가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7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 식별이 위험 관리절차에 따라 식별되고 평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위험관리계획서 03. 위험관리대장 04. 위험발생보고서 05. 회의록 06. 관련법률
7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 식별이 위험 관리절차에 따라 식별되고 평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준거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7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 식별이 위험 관리절차에 따라 식별되고 평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위험관리계획서에 따라 위험이 식별되고 대응방안이 적절하게 수립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사업 초기의 위험 식별은 구체적이지 못하고 대응방안 또한 상세하지 않을 수 있으나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위험 식별이 보다 구체화되고 대응방안 또한 체계화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사업이 진행되면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인 회의를 통하여 위험이 식별될 수 있으며, 이때 식별된 위험이 위험발생보고서에 작성되고 검토 및 승인과정이 진행되었는지 확인한다. - 식별된 위험이 위험관리대장에 통합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식별된 위험은 적절한 대응방안이 수립되어야 하고 위험의 정도 및 필요에 따라 대응훈련이 실시되었는지 확인한다. - 개발되는 시스템이 법률의 개정이나 신설 또는 폐기에 근거한다면 관련 법률의 제개정을 위험항목으로 도출하고 그 진행과정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02. 위험을 정량적(Quantitative), 정성적(Qualitative)으로 평가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위험보고서, 위험분석서 등에 위험의 정량적 평가 내용과 정성적 평가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위험평가 시 우선순위가 높은 위험에 대하여 철저한 통제가 이루어져야 하나 우선순위가 낮은 위험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상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7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위험 식별이 위험 관리절차에 따라 식별되고 평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식별된 위험에 대하여 적정한 대응방안이 수립되어 있고, 식별된 위험이 발생한 경우 적정하게 위험에 대처하였으며, 대응방안의 유효성이 평가되고, 위험관리계획서에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
7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식별된 위험에 대하여 발생 위험에 대한 대처가 유효한가를 평가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위험관리계획서 03. 위험관리대장 04. 변경관리대장 05. 회의록
7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식별된 위험에 대하여 발생 위험에 대한 대처가 유효한가를 평가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춤루의 준거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7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식별된 위험에 대하여 발생 위험에 대한 대처가 유효한가를 평가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위험 발생에 대한 대응방안이 유효하였는지 평가한다. - 도출된 위험에 대한 대응방안이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대응방안에 대한 담당자가 적정하게 선정되어 있고 위험발생시 보고체계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 정량적으로 평가된 위험이 타당하게 평가되었는지 확인한다. 02. 발생된 위험에 대한 대처가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위험관리계획서에서 식별된 위험이 발생하여 위험발생보고서가 작성되고 계획된 보고체계에 따라 적절하게 보고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 발생된 위험에 대한 대응조치가 위험관리계획서에 근거하여 진행되었는지 확인한다. - 식별되지 않은 위험이 발생한 경우, 대응조치 등의 관련 내용이 적절하게 기록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발생된 위험에 대한 대응조치 등이 피드백되어 위험관리계획서가 수정·보완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7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식별된 위험에 대하여 발생 위험에 대한 대처가 유효한가를 평가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발생된 쟁점이 쟁점관리절차에 따라 쟁점발생보고가 이루어지고 담당자 등이 선정되어 쟁점이 관리되고 해결되었는지 확인한다. 또한 도출된 쟁점의 중요도 및 긴급성을 고려하여 위험관리체계로 전환이 적정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8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쟁점의 해결과정과 위험으로의 전환이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위험관리계획서 03. 쟁점관리계획서 04. 위험관리대장 05. 쟁점관리대장 06. 쟁점발생보고서 07. 쟁점분석서 08. 회의록
8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쟁점의 해결과정과 위험으로의 전환이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일관성입니다.
8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쟁점의 해결과정과 위험으로의 전환이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프로젝트 진행 중에 발생된 쟁점이 쟁점관리 절차에 따라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도출된 쟁점이 쟁점발생보고서에 쟁점의 범주, 제목, 발생일, 중요도, 긴급성, 상태, 발생부서, 완료예정일, 담당자 등이 누락 없이 기록되어 있고 보고체계에 따라 쟁점발생보고서가 보고되었는지 확인한다. - 제기된 쟁점은 명확히 정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등록된 쟁점은 평가 및 합동검토를 거쳐 회의록이나 쟁점분석서 등에 평가 및 검토내용이 기록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도출된 쟁점은 완료예정일에 적절하게 완료가 되었고 관련 조직 및 개인에게 통보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02. 쟁점이 위험으로 적절하게 전환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쟁점의 긴급성과 중요성을 파악하고 절차에 따라 위험으로 적절하게 전환되었는지 확인한다. - 위험 전환시 위험관리절차에 따라 대응방안을 수립하였는지 확인한다. - 쟁점이 위험으로 전환된 경우 추적이 가능하게 쟁점식별 ID가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8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쟁점의 해결과정과 위험으로의 전환이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계획 대비 활동 실적
8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계획에 따른 품질보증활동이 수행되고 있는가?
픔질보증활동이 계획대로 수행되어 사업의 품질이 충분히 달성되고있는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8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계획에 따른 품질보증활동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은 무엇인가?
품질보증활동이 계획대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사업에서 목표하는 품질을 달성하였는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전반적인 사업 결과물(시스템, 산출물 등)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품질보증활동이 계획된 주기, 절차,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8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계획에 따른 품질보증활동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일관성입니다.
8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계획에 따른 품질보증활동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각 단계별 산출물이 품질보증활동에 따라 생산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02. 품질보증활동의 계획대비 실적을 확인한다.
8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계획에 따른 품질보증활동이 수행되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항목은 무엇인가?
일정계획에 따라 워크스루, 내부품질점검 등의 품질보증활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각종 중간산출물이 주관기관의 승인 전에 독립된 품질조직에 의하여 품질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8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각 단계별 산출물이 품질보증활동에 따라 생산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품질보증계획서 03. 단계별 산출물
9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각 단계별 산출물이 품질보증활동에 따라 생산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준거성,일관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91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각 단계별 산출물이 품질보증활동에 따라 생산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각 단계별 일정계획 및 품질계획에 따라 품질보증활동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한다. - 계획된 품질활동을 전개하여 프로젝트의 품질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을 수행하였고 증거(Trail)들이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단계 말 검토회의 및 업무 진척상황보고(주간보고, 월간보고, 비정기 보고 등)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 각 단계별로 프로젝트 건강검진 리스트(Health Check List)가 작성되어 프로젝트 품질의 사전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품질활동에 의한 품질개선내용이 변경관리절차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 품질통제를 위한 품질검사(Inspection)와 재작업(Rework)이 시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프로젝트 단계별 산출물이 작성되고 품질관련 조직에 의하여 체계적인 검토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02. 계획된 품질보증활동이 적정하게 수행되어 사업 산출물의 품질이 확보되었는지 확인한다. - 작성된 품질검검표(Check List)를 이용하여 개발자 및 품질담당자가 자체검사(Self Check)를 실시하였는지 확인한다. - 단계별로 작성된 산출물에 대하여 동료검토(Peer Review) 및 기술검토(Technical Review), 공식/비공식 워크스루(Walk Through) 등의 품질활동을 통하여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검토내용이 산출물에 반영되었는지 확인한다. - 내부품질점검(Internal Audit)이 프로젝트 일정계획에 수립되어 있으며 계획대로 시행되었는지 확인한다. - 감리보고서에 대한 시정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산출물 및 프로세스에 반영되었는지 확인한다.
92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각 단계별 산출물이 품질보증활동에 따라 생산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설정된 품질목표를 품질계획에 따라 측정하고 있으며 부적합 사항이 발생한 경우 적정하게 시정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93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활동의 계획대비 실적을 확인하는 절차의 목적과 필요성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품질보증계획서 03. 단계별 산출물
94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활동의 계획대비 실적을 확인하는 절차의 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절차의 준수성과 산출물의 준거성,일관성과 사업성과의 충족성입니다.
95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활동의 계획대비 실적을 확인하는 절차의 감리관점과 점검기준은 무엇인가?
01. 품질계획에 작성된 품질목표를 측정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각 품질목표를 계수화 하기 위한 관련 산출물을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품질목표의 측정방법, 측정기준, 측정시점이 품질계획에 근거하여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품질목표에 미달된 항목에 대한 대응방안이 수립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02. 산출물의 품질검토를 통하여 지적된 부적합 사항에 대한 시정조치내용을 확인한다. - 품질 내부검토, 단계말 품질검토, 주관기관검토 등을 통하여 발생된 부적합 사항이 기록/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부적합 사항에 대한 시정조치 내용을 검토하고 시정조치 절차를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9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실행통제의 품질보증활동의 계획대비 실적을 확인하는 절차의 세부검토방법은 무엇인가?
01. 사용자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였는지 여부
97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종료 사업관리의 기본점검항목은 무엇인가?
01. 계약사항과 사용자요구사항이 계약종료 전에 모두 완료되었는가? - 사용자요구사항 추적의 완전성 02. 완료된 사업범위에 대한 사용자의 공식 승인이 완료되었는가? - 사용자 승인 시험 결과
98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종료 사업관리의 검토항목은 무엇인가?
01. 사업수행계획서 02. 사용자요구사항추적표 03. 검수확인서
99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종료 사업관리의 주요검토대상산출물은 무엇인가?
사용자요구사항 추적의 완전성
100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사업관리 종료의 계약사항과 사용자요구사항이 계약종료 전에 모두 완료되었는가를 통해 검토할수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End of preview. Expand in Data Studio
README.md exists but content is empty.
Downloads last month
5